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예방형과 관리형의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개인이 주도적으로 건강생활을 실천하고 개선되는 정도에 따라 일정 포인트를 지급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시범사업 지역,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란?
국민이 건강상태를 스스로 알 수 있도록 정보를 드리고, 개인이 주도적으로 건강생활을 실천하고 개선되는 정도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하는 사업입니다.
- 시범사업에는 건강관리가 필요한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형", 일차의료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에 등록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관리형"으로 구분하여 실시됩니다.
시범사업 지역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시범운영 기간 중이라 참여가능한 지역이 정해져 있으며, 참여 당시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아래 해당되어야 합니다.
지원대상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는 예방형과 관리형으로 구분하여 실시되고 있어 지원대상에 차이가 있습니다. 예방형의 경우 일반건강검진일로부터 6개월 이내 건강위험그룹에 포함되어 있다면 신청할 수 있고, 관리형의 경우 고혈압 또는 당뇨로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 참여의원을 다니고 있어야 참여가 가능합니다.
- 예방형 :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결과 건강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만 20 ~ 64세의 국민
- 관리형 : 고혈압 또는 당뇨병 환자이면서 일차의료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에 등록한 경우
지원내용
적립된 포인트는 현금으로 바꿀 수는 없으나 지정된 인터넷몰에서 상품 구입 시 사용하거나 모바일 상품권으로 교환가능합니다. 아래에서는 포인트 적립. 사용 기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예방형
- 총 적립 포인트 120,000점(2년)
- 실천포인트(걸음수, 건강관리프로그램) 최대 50,000점, 개선포인트 15,000점, 참여신청 5,000점
관리형
- 총 적립포인트 80,000점(1년)
- 실천포인트(케어플랜, 걸음 수, 자가측정 등) 65,000점, 점검 평가포인트 10,000점, 참여신청 5,000점
신청방법
시범사업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지원대상에 해당하는지를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본인이 참여대상자라면 예방형 또는 관리형 중 어느 사업을 신청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공인. 민간인증서를 통한 로그인이 필요하니 미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참여신청은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을 통해 가능합니다.
- 온라인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The건강보험앱"의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참여신청 탭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오프라인은 시범지역을 관할하는 공단 지사에 직접 방문하셔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시범사업 지역,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건강생활실천 지원금제에 참여하셔서 건강도 챙기고, 포인트도 받아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시범사업 로그인 및 걸음 수 연동방법 안내
국민건강보험 병원 진료 기록, 약국 처방 조회방법 알아보기
국민건강보험 병원 진료 기록, 약국 처방 조회방법 알아보기
이전 병원 진료기록, 처방등이 궁금하실 때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내가 받은 병원 진료 기록과 약국에서 처방받은 조제약 처방을 온라인으로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
health0618.tistory.com
국민건강보험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원 알아보기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보호자나 간병인이 병실에 상주하지 않고, 병원의 간호사, 간호조무사, 간병지원인력이 24시간 입원 환자를 직접 돌보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제도입니다. 보호자나 간병인
health0618.tistory.com
'공공, 자치단체 소식, 건강, 운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신청대상,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4.04.10 |
---|---|
비상진료 병.의원(약국), 응급실, 비대면 진료기관 등 알아보기 (0) | 2024.04.08 |
2024 서울시 전기이륜차 보조금 지원금액,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4.04.03 |
어린이 폐렴구균 신규 백신(PCV15) 예방접종 알아보기 (1) | 2024.04.01 |
국민건강보험 병원 진료 기록, 약국 처방 조회방법 알아보기 (0) | 2024.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