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공, 자치단체 소식, 건강, 운동 등

비상진료 병.의원(약국), 응급실, 비대면 진료기관 등 알아보기

by health0618 2024. 4. 8.
728x90

의료공백에 대한 국민의 불안이 계속되는 가운데 동네 병의원을 운영하는 개원의들도 주 40시간만 병원 문을 여는 준법진료에 나선다고 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응급 시 진료 가능한 병의원과 응급실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응급의료포털 이용방법, 비대면 진료기관, 서울시 야간휴일 진료가능 병의원 찾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응급의료포털-비상진료-병의원-안내-홈페이지
응급의료포털 비상진료 병의원 안내(바로가기)

비상진료 병의원 찾기

기존에 명절이나 공휴일에 진료가능한 병의원을 알려주던 응급의료포털이 현재는 의료파업으로 인해 비상진료 병의원 안내 페이지로 바로 연결됩니다.

  • 응급의료포털에 접속하시면  홈페이지 화면에서 일반검색과 지도검색 중 한 가지를 선택해서 인근의 병의원과 진료시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의료포털(비상진료 병의원 찾기)

응급실 찾기

만약 응급실이 필요할 때 응급의료포털에 응급실 찾기를 클릭해서 지도와 일반 검색을 통해 가까운 곳의 응급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까운 응급실 찾아보기

응급의료포털-응급실-찾기-홈페이지
응급의료포털 응급실 찾기(바로가기)

  • 응급실 항목의 "종합상황판"을 클릭하면 1시간 간격으로 상황을 반영해서 응급실 수용 가능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상황판 바로가기

응급의료포털-종합상황판-바로가기
응급의료포털 종합상황판(바로가기)

  • 위와 같은 방법으로 검색했는데도 주변 응급실을 찾기 어렵다면 국군병원 응급실도 다른 대안입니다. 의료공백에 대비하여 12개 국군병원 응급실을 24시간 가동하고 있습니다. 다른 특별한 절차 없이 신분증만 소지하고 국군병원 응급실로 내원하면 됩니다.

비대면 진료 병의원 찾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의료정보 메뉴 "특수운영기관 정보"에서 비대면 진료 의료기관 및 약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대면 진료 의료기관(병원, 약국) 찾아보기

비대면-진료-병의원-찾기-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비대면진료 의료기관 찾기(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함께 보면 좋은 글] - 비대면 진료 대상, 의료 기관, 이용 방법, 전면시행 Q&A 알아보기

 

비대면 진료 대상, 의료 기관, 이용 방법, 전면시행 Q&A 알아보기

정부에서는 이번 전공의 사직서 제출로 인한 의료공백을 메우기 위해 2월 23일부터 비대면 진료를 전면 시행하기로 하였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비대면 진료 대상, 의료기관 찾기, 앱 및 이용

health0618.tistory.com

서울시 야간휴일 진료가능한 병의원 찾기

서울시 야간휴일 진료가능한 병의원은 "서울시 누리집"에 접속하시거나, 모바일 앱 "응급의료정보제공"을 설치하여 들어가 보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120 다산콜센터, 119에 문의하셔도 됩니다.

구글 플레이 앱(다운로드) 애플 스토어 앱(다운로드)
응급의료정보제공 응급의료정보제공
  • 아래의 진료가능한 병의원을 확인하셨다면 방문 전에 꼭 전화나 응급의료포털(e-gen)에서 진료여부 및 진료시간을 확인한 후에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야간휴일 진료가능 병의원 찾아보기

서울시-야간-휴일-진료가능-병의원-찾기
서울시 야간휴일 진료가능한 병의원(출처 : 서울시 누리집)

 

오늘은 응급 시 진료 가능한 병의원과 응급실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응급의료포털 이용방법, 비대면 진료기관, 서울시 야간휴일 진료가능 병의원 찾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응급의료정보 앱인 "e-gen"에서 병원, 약국, 응급실 정보를 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니, 만약의 경우에 대비하여 미리 앱을 설치하여 두신다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 병원. 약국(요양기관)의 본인확인 강화 제도 알아보기

 

병원.약국(요양기관)의 본인확인 강화 제도 알아보기

2024년 5월 20일부터 환자의 본인 확인을 의무화하는 제도가 시행됩니다. 병. 의원 내원 시 환자는 신분증명서를 제출해야 하고, 병. 의원은 본인여부 및 자격을 확인하여 요양급여를 실시해야 합

health0618.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