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임신. 출산의 고위험 요인을 조기에 파악할 수 있도록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을 4월 1일부터 시행 중입니다. 소득 수준 및 거주지역에 관계없이 사실혼과 예비부부를 포함한 임신 준비부부에게 여성 난소기능검사 초음파검사와 남성 정액검사를 지원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임신 사전건강관리 사업 신청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 제출서류, 청구방법, 지원절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임신 사전건강관리 사업이란?
임신 사전건강관리 사업은 2024년 4월 1일부터 전국 보건소(서울시 제외)에서 실시하는 필수 가임력 검사비 지원사업입니다. 다만, 서울시는 자체 유사사업 인 "서울시 남녀 임신준비 지원사업"을 시행 중인 관계로 이번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내년부터는 참여할 예정입니다.
- 여성에게는 난소기능검사(AMH, 일명 "난소나이검사")와 부인과 초음파 검사를 제공해 전반적 가임력 수준과 자궁근종 등 생식 건강 위험요인을 알 수 있습니다.
- 남성에게는 정액검사를 지원해 전체 난임요인에 40%를 차지하는 남성 생식건강 관리에 필요한 주요 정보를 제공하는데 가임력 우려 소견이 있을 경우 난임시술, 난자. 정자 보존 등 가임력 보존 계획도 가능합니다.
신청대상
- 임신 희망(준비) 부부(사실혼, 예비부부 포함)
- 단, 여성이 가임연령(15~49세, WHO기준)인 부부
지원내용
- 지원금액은 1회 지원으로 여성은 최대 13만 원, 남성은 최대 5만 원을 지원합니다.
여성 | 난소기능검사 (AMH, 부인과 초음파) |
최대 13만원 지원 |
남성 | 정액검사 (정자정밀형태검사) |
최대 5만원 지원 |
신청방법
신청은 2024년 4월 1일 이후 연중 신청가능합니다.
1. 방문신청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방문하여 아래의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2. 온라인 신청
현재는 문서 24를 활용한 온라인 접수가 가능합니다.
- 올 상반기에 e보건소 내 신청 및 청구 서비스 개설될 예정입니다.
① 제출서류 준비
- 필수서류 : 신청서, 개인정보제공동의서, 행정정보공동이용동의서 작성(jpg 또는 PDF파일 준비)
- 추가서류 : 가족관계증명서, 청첩장 등 추가서류 (jpg 또는 PDF파일 준비)
② 문서 24 회원가입 및 로그인
- 문서 24 홈페이지 접속 ≫ 문서 보내기 ≫ 문서제출 전 확인사항 ≫ 문서작성 ≫ 전송요청
받는기관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등 담당부서(건강증진과/보건행정과 등 기관별 상이)로 설정 문서제목 : "임신사전건강관리 지원 신청 문서내용 : 자동 작성된 서식에 "임신사전건강관리 지원을 신청합니다" 문구를 작성 제출자명 : 신청자 성명(발신자명과 동일) 붙임파일 : 신청서 등 필수 제출서류 첨부 |
③ 접수여부
- "보낸 문서함"에서 확인합니다.
④ 검사의뢰서 발급
- 신청일로부터 3일 내 담당자 확인 후 검사의뢰서 발급합니다.
- 받은 문서함 ≫ 접수 ≫ 접수 문서함 ≫ 검사의뢰서 첨부파일 ≫ 다운로드 ≫ 출력물 또는 모바일 화면 제시 후 진행
제출서류
1. 공통서류
- 임신사전건강관리 지원신청서, 개인정보제공동의서(배우자 동의 필수), 주민등록등본(또는 행정정보공동이용동의서)
2. 추가 제출서류(별도 주소지 거주 시에만)
- 법률혼(가족 또는 혼인관계증명서, 상세)
- 사실혼(청첩장 또는 사실혼 확인보증서, 보증인 신분증 사본)
- 예비부부(청첩장 또는 예식장 예약증 등)
3. 지원금 청구 시 제출서류
- 임신사전건강관리 지원 검사비 청구서, 진료비 영수증 및 세부내역서 각 1부, 입금 계좌 통장사본
청구방법
- 신청방법과 동일하나 문서 작성 시 문서제목에 "임신 사전건강관리 검사비 청구"와 문서내용에는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검사비를 청구합니다"로 작성하여 제출서류를 첨부하여 전송 요청합니다.
지원절차
- 검사비 지원신청 ≫ 검사의뢰서 발급 ≫ 검사 및 결과상담 ≫ 검사비 청구 ≫ 검사비 지급
문의처
- 사업 관련 문의 관할 보건소 또는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 e보건소 누리집 이용문의 ☎ 1566-3232(ARS 5번→ 9번)
오늘은 임신 사전건강관리 사업 신청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 제출서류, 청구방법, 지원절차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임신 계획이 있으시다면 난임 예방 및 건강한 임신. 출산을 위해 가임력 검사를 받아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영유아 건강검진 시기, 예약방법, 문진표, 검진결과 알아보기
영유아 건강검진 시기, 예약방법, 문진표, 검진결과 알아보기
만 6세 이전에 어린이의 신체와 두뇌의 80%가 완성되기 때문에 이 시기의 건강 이상을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유아 건강검진을 통해 발육지연과 과체중 등 아이의 성장과 발달이상
health0618.tistory.com
'공공, 자치단체 소식, 건강, 운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확인, 온라인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4.04.18 |
---|---|
경기도 맘튼튼 축산물 꾸러미 지원사업 알아보기 (0) | 2024.04.17 |
비상진료 병.의원(약국), 응급실, 비대면 진료기관 등 알아보기 (0) | 2024.04.08 |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시범사업 지역, 지원대상,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4.04.05 |
2024 서울시 전기이륜차 보조금 지원금액,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4.04.03 |